-
데미안_최근읽은책나의 이야기/관심사 2013. 2. 16. 17:03
헤세의 데미안을 처음 읽었다
명작이라고 불리는 소설을 읽으며 받은 첫 느낌은 '어렵다...근데 깊숙히 빠져든다'책장을 덮으며 이 소설이 청소년 권장 소설이라 했는데..
청소년들 (구체적으로 중,고등학생) 이 과연 이 소설을 읽고 어떤 느낌을 받았을 지 궁금하다
생각이 닿는 친구가 있다면 한 번 이야기하고 싶지만, 아직 그런 인연은 없다(오늘 illusion 친구들이 와서 잠시 이야기를 해 보니, SH가 중학교 때 읽었다곤 하는데 기억에 남는 게 없다고 한다 ㅎㅎ)
데미안은 훌륭한 '멘토' 같다
삶의 목적을 설정함에 있어 진정한 나를 찾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은 충분히 생략할 수 있지만, 생략한다면 반드시 나중에 동일한 과정을 되짚게 되어 있다
늦더라도 반드시 나를 찾는 과정이 필요한데, 이 소설은 그러한 과정으로 깊숙히 빨아 당긴다1877년에 태어난 작가가 1919년에 쓴 작품이니 우리나이로 43살에 쓴 것이다
43살 이라는 세월 속에서 열 한살의 아이를 생각해 낸다면, 그 아이는 43년의 경험을 고스란히 간직한
아이인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드는게 냉소적이다한 구절 옮겨본다
내가 무엇이 되건 나로서는 아무래도 좋았다. 특별하고 별로 곱지 못한 식으로, 술집에 앉아
의기양양하게 굴면서 나는 세상과 싸움을 벌이고 있었던 것이다. 그것은 내 나름의 저항의 형식이었다.
그러면서 나 자신을 망가뜨렸고, 이따금씩은 내 일을 대략 이렇게 보았다. 세상이 나 같은 사람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면, 나 같은 사람들에게 줄 좀 더 나은 자리, 좀 더 높은 과제를 갖고 있지 못하다면,
이제 나 같은 사람들은 이렇게 망가지는 거라고. 세상이 손해를 보겠지 뭐.이 글을 보면서 나는 또다시 내게 있어 '술'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었다
그 때 술에 취해 내가 했던 생각과 완전히 일치한 글에 섬뜩함이 느껴졌다.데미안을 나의 서재에 옮겨 놓아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기회가 된다면 왼쪽 팔목에 tattoo 를 하고 싶다는 생각도 들었다
단 한 번에 놓을 책이 아니었다
어찌 이런 표현을 써 낼수 있을까
난 이런 작가를 볼 때마다 비로소 인간의 위대함을 느끼곤 한다PS. 참고로 난 왜 이런 명작들을 중, 고등학교 시절 읽지 못했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중학교 시절 나의 열정은 어디로 향했던가..고등학교 시절엔?
후회는 없지만, 지금 아이들에겐 꼭 알려주고 싶다
책을 읽는 다는 것이 너희에게 얼마나 가까이 다가가는 것인지, No.1 이 아닌 only 1 이 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진정으로 무엇인지..
'나의 이야기 > 관심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톰 소여의 모험 - 최근 읽은 책 (0) 2013.02.23 난독 (0) 2013.02.17 분노하라 - 함께 읽고 싶은 책 (0) 2013.02.04 스마트폰 중독 최선의 해독제는 종이 책·신문 읽기 (0) 2013.01.31 모모_함께 읽고 싶은 책 (0) 2013.01.30